티스토리 뷰
Spring MVC project
Ajax 호출을 할 웹서비스를 Spring Tool Suite(STS)에서 간단하게 만들어보자. 어떻게 할까 하다가.
Spring MVC project 템플릿을 이용해보기로 했다. 아래 그림대로 프로젝트를 만들자.
프로젝트 이름은 chart-sample 로, 그리고 패키지는 com.chart.sample 로 각각 기입하자.
Finish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첫번째로 해야 할 일은, 이전 포스팅에서 작성한 3개파일 + jquery.js 파일을 붙여넣는 일이다.
src/main/webapp/resources 폴더에 ajax-sample.js , chart.html , jquery-1.8.1.js, sampleData.json
모든 파일을 복사해서 붙여넣자. 아래 그림과 같은지 확인만 한다.
왜 파일들을 resources 폴더에 넣어야 하는지 궁금하신분은
http://springmvc.egloos.com/504151 포스팅을 읽어보시면 매우 좋다.
VMware vFabric tc Server Developer Edition v2.7
이제 간단한 웹서비스를 만드는 건 끝났고 WAS에 배포할 일만 남았다.
vFabric을 사용할 것이며, STS와 함께 있어서 설치가 따로 필요치 않다.
오른쪽 클릭을 하면 [Add and Remove...] 메뉴가 있다. 클릭하자.
chart-sample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Add 버튼을 눌러 오른쪽으로 옮겨놓자. 아래와 같이 됬다면 Finish 버튼 클릭.
서버를 start 하고 웹브라우저를 열어 http://localhost:8080/chart-sample/resources/chart.html 에 접속해보자.
아래와 같이 나온다. 안나오면 다시 처음부터 차근차근 보시길 권한다.
이제 sampleData.json 파일의 v 값을 변경시켜가면서 reflesh 버튼을 눌러보자. WAS에 적용이 되야하니
조금만 있다하면 그래프가 값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reflesh 버튼을 없애고 자동 갱신을 시켜봐야겠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MyBatis
- eclipse
- ktm모바일
- 셀프개통
- 자급제폰
- 마인크래프트
- python
- ubuntu
- ggplot2
- 알뜰요금제
- vagrant
- ipTIME
- Google Chart Tools
- java
- MySQL
- docker
- heroku
- 맥북
- ggplot
- 이클립스
- Oracle
- Spring
- github
- 막대그래프
- javascript
- 아이맥
- MongoDB
- 도넛차트
- SVN
- 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