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Chart Tools 웹페이지에서 가능한 차트가 어떤게 있을까 찾아봤다. 물론 RIA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하면 되지만, html + javascript 영역안에서 해보고 싶었다. 간단하고 심플한 chart 가 없을까.. 했는데 역시나 구글 내부 프로젝트로 있다. Google Chart Tools. 정확한 정보를 전달만 하는 그런 대시보드에서 좋을 듯 하며, 애니메이션 효과가 그렇게 뛰어나지는 않으니 그런 디자인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라면 다른 제품을 검색하는 것이 나을 듯 하다. (출처 : https://developers.google.com/chart/ ) Pie, Line, Column, Area Chart 등등.. 대쉬보드에서 쓸만한 차트 종류가 가득하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
비가 오고. 바람도 부는.조금 늦은 저녁, 서로에게 감사하다. piano : sp4-8record : 내장사운드카드
윈도우 설치CD(DVD) iso(혹은 bin) 파일을 받았다면 USB 를 이용해 Window 를 설치할 수 있다. 보통 윈도우 xp 는 CD 한장에 다들어가지만 윈도우7 부터는 그렇지 않다. 그래서 USB로 설치하는 것을 시도하는데 필요한 유틸이 UltraISO 이다. 설치하기 이전에 해야 할일은 USB 메모리에 윈도우 설치 디스크를 담아야 한다. 그걸 UltraISO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윈도우 설치 USB 를 만들어보자. 1. [파일] - [열기] 를 선택해서 윈도우 디스크 파일을 찾는다. 2. 열리면 정상적으로 파일들이 보인다. 3. [부팅] - [디스크 이미지 기록] 을 선택하자. 4. 윈도우 설치 디스크를 기록할 USB 가 연결된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쓰기" 버튼을 클릭해서 기록을 시작한다. 5...
JavaEE6 를 아직 접해보진 않았지만 참 모가 많이 변한듯하다. JSF 기술역시 없어지지 않을까했는데 이런 동영상이 나오는 것을 보니 아직 죽지는 않은 듯하고.. PrimeFaces Framework 이 JSF 영역에서는 돋보적인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위 기술들에 관심이 있으시면 넷빈에서 만드는 예제 동영상을 따라해보자. Birds Eye View of JavaEE6 & PrimeFaces on Maven with NetBeans링크 : http://www.youtube.com/embed/r6E7XvQe2CE
저번에는 closure 와 내장함수(inner fucntion) 을 알아보았는데, 객체에 대해서 좀 더 알아봐야 할 듯하다. 알면알수록 아리송~자바스크립트는 놀랍게도 거의 모든 것이 객체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자료형 역시 null과 undefined 를 제외한 나머지도 객체로 되어 있다.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2가지 경우가 있다. 1. object initializer 방법2. constructor function 이용하는 방법 1번은 객체를 직접 { } 안에 property와 value를 정의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var myHonda = {color: "red", wheels: 4, engine: {cylinders: 4, size: 2.2}}; 이때까지 많이 해왔던 방법이라 패스. 2번..
난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지향이란건 생각해본적도 없다. 하지만 클로저(Closure) 라는 패턴(?)을 이용해 자바(java)에서 쓰이는 클래스개념을 만들 수가 있다. 그렇다고 자바처럼 단순히 멤버변수와 메소드를 정의만 하는 쉬운방법으로는 되지 않는다. 우선 Closure 가 무엇인지 알기전에 내장함수(inner function)에 대해 알아보자 function outer(num1) { var num2 = 5; function inner() { return num1 * num2; } return inner(); } 함수안에 함수가 있다. 그래서 내장함수이다. 내부함수 inner는 외부함수 outer의 파라메터 num1 과 지역변수 num2 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만 알아두자. 결과값은 어떻게 알아볼 수 있..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의 존재는 아주 자유롭다. -_- 훨훨~ 표현 및 호출이 제약이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 심지어 함수명 따윈 필요치 않다. 아래예제를 보자. var square = function(number) {return number * number}; sqaure 라는 변수가 가리키는 것은 데이터가 아닌 바로 함수이다. 이름없는 함수를 가르키고 있다. square 라는 변수를 어떻게 사용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 console.log(square(5)); // 25 라고 출력된다. console.log 는 로그 출력하는 함수일 뿐이다. 이와같이 함수를 호출하듯이 파라메터를 넣으면 결과를 리턴받을 것이고 그것을 출력하면 된다. 함수명과 다를바가 없다. 하지만 이건 지역변수 선언하듯 선언한..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면서 나의 생각이 유연하지 못하구나.. 라는 생각을 자주한다. function 또한 나에게 혼란을 많이 가져왔고 아직 어려운 존재임에는 틀림이 없다. 우선 간단한 일반적인 예제다. function square(number) { return number * number; } function 이란 키워드로 시작하며, { } (curly braces)을 기준으로 묶여 있다. 무엇을 리턴하는지 명시하지 않아도 되며, 받는 인자가 무슨 타입인지 선언하지 않는다. return 키워드를 쓰면 무언가를 계산해서 리턴하는 구나 라고 생각하면된다. 자 이제, 궁금한게 생긴다. 함수를 호출할 때 건네주는 파라메터들은 Call by Value 와 Call by Reference 둘 중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
- Total
- Today
- Yesterday
- python
- ggplot
- Spring
- java
- 도넛차트
- docker
- eclipse
- 아이맥
- 알뜰요금제
- 자급제폰
- github
- 마인크래프트
- ktm모바일
- MySQL
- heroku
- MongoDB
- MyBatis
- ggplot2
- vagrant
- javascript
- SVN
- ipTIME
- ubuntu
- Google Chart Tools
- 셀프개통
- R
- Oracle
- 막대그래프
- 맥북
- 이클립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