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plot2 에서 x축의 눈금선(ticks) 위치와 레이블(label) 변경방법을 정리해본다. 이전 포스팅에서 그렸던 라인그래프를 가져와서 이용하긴 할텐데, 여기서도 다시 그릴거라 참고만 하시면 된다. ggplot2 라인차트 그리기 ggplot2 로 라인차트, 선그래프를 그리고자 한다. 그리고 왼쪽편 그래프를 오른쪽처럼 디자인 해본다. 데이터를 만드는데 생각보다 신경을 많이썼다. 조금씩 누적되어 가파른 증가속도를 보여주 emflant.tistory.com 그래프를 그릴 데이터를 조금 수정한다. 개월수만큼 4년치인 x 축을 1~48로 셋팅하였다. set.seed(2200) tb = tibble(x = 0:48, y = runif(48 + 1, min = 0, max = x^2+10)) %>% mutate..
ggplot2 로 라인차트, 선그래프를 그리고자 한다. 그리고 왼쪽편 그래프를 오른쪽처럼 디자인 해본다. 데이터를 만드는데 생각보다 신경을 많이썼다. 조금씩 누적되어 가파른 증가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하나 만들고 싶었다. library(tidyverse) set.seed(100) tb = tibble(x = 0:40, y = runif(41, min = 0, max = x^2+10)) %>% mutate(z = (cumsum(y) + 800) / 15) # A tibble: 41 × 3 x y z 1 0 8.65 53.9 2 1 8.55 54.5 3 2 11.6 55.3 4 3 11.5 56.0 5 4 12.8 56.9 6 5 27.3 58.7 7 6 40.7 61.4 8 7 12.3 62.2 9 8 ..
수평 막대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중의 하나를 정리해본다. 아래 왼편그림처럼 수직차트를 그려놓고, x/y 축을 뒤집어 바꾸어 오른쪽 그림처럼 변경이 가능하다. 그 기능을 제공하는 ggplot2::coord_flip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테스트를 진행할 임시 데이터를 하나 만든다. 연도별 통계를 임의로 만들어본다. x축은 년도이고, y축은 50~150 사이의 숫자를 랜덤하게 만들어본다. library(tidyverse) tb = tibble(x = 2017:2022, y = sample(50:150, 6)) %>% mutate(z = max(y) == y) # A tibble: 6 × 3 x y z 1 2017 97 FALSE 2 2018 101 FALSE 3 2019 146 TRUE 4 2020 110 FA..
막대그래프를 그릴때, 막대위에 숫자표기를 하고 싶다면, 쉽게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왼편의 ggplot 에서 흔히 보는 막대그래프 스타일을 오른편의 그래프로 디자인까지 진행해본다. 임의의 데이터 셋을 만든다. sample 을 이용해서 랜덤으로 값을 추출한다. tb = tibble(x = 1:5, y = sample(200:240, 5), l = c("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제주")) 아래 2줄만으로도 막대그래프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 ggplot(tb, aes(x, y)) + geom_col(width = 0.6) 막대그래프 위에 실제 y 값을 표시하려면,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geom_text 를 이용해서 텍스트를 추가하면 되고, vjust 설정으로 위아래로 위치를 살짝씩 ..
막대그래프를 ggplot 으로 막대그래프를 표현하다가 한글로 x 축을 한글로 가~마 로 설정하고, y 축 근처에 (단위) 문구를 넣고 싶었다. 하지만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한글깨짐 현상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 ggplot 을 쓰려는데 한글을 못쓸리 없다. 열심히 해결책을 찾아 본다. 우선 사전작업이 하나 있는데, 아래의 extrafont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컴퓨터에 설치된 폰트를 불러온다. install.packages("extrafont") library(extrafont) font_import() 그리고, 그래프를 만들 데이터를 정의한다. tb = tibble(x = 1:5, y = c(10,15,5,25,20), l = c("가", "나", "다", "라", "마")) %>% ..
r 프로그래밍 언어로 원그래프/도넛차트를 그릴때, 어느 위치부터 값을 그릴지 셋팅하는 걸 정리해본다. 저번에 ggplot 으로 파이차트와 도넛차트를 그려보았다. 항상 0 이 12시 위치에서 시작할 수 밖에 없는지 의구심이 들었는데 역시 다른 위치/각도에서 시작할 수 있는 옵션이 있었다. 우선 도넛차트 그리는 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한다. (ggplot2) R 프로그래밍 파이차트/도넛차트 예제 오늘은 파이차트(원모양의 그래프, 원그래프) 혹은 가운데가 비어있는 도넛차트를 만들어보려 한다. 기본 데이터셋인 mtcars 를 활용해서 우선 bar 차트를 만들어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건, factor emflant.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보면 coord_polar 함수로 원형차트와 도넛차트를 그렸었는..
ggplot 으로 그래프를 그리다보면, x 축에 너무 많은 값들이 표기가되서 너무 빽빽하게 보이는 현상이 있다. 이건 아마도 문자열값(character)이다보니 발생하는 문제인데, 일부 대표값 혹은 본인이 원하는 특정값만 가지고 x축을 표현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을 보면, x 축의 값들이 너무 빽빽하다보니 중첩되서 알아볼 수 없게 된다. t1 = tibble(연도 = paste0(as.character(2015:2026), '-01-01'), 인구수 = c(1014, 1245, 1446, 1635, 1811, 1973, 2123, 2261, 2388, 2504, 2609, 2704)) t1 # A tibble: 12 × 2 # 연도 인구수 # # 1 2015-01-01 1014 # 2 2016-01-01..
- Total
- Today
- Yesterday
- eclipse
- 막대그래프
- Spring
- python
- ipTIME
- ktm모바일
- javascript
- 맥북
- 마인크래프트
- github
- 이클립스
- 아이맥
- MySQL
- docker
- ubuntu
- Google Chart Tools
- java
- 도넛차트
- R
- 알뜰요금제
- MyBatis
- 셀프개통
- heroku
- ggplot
- MongoDB
- vagrant
- SVN
- 자급제폰
- ggplot2
- Oracl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