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집에 남는 스마트폰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고, 아이패드 혹은 갤럭시탭을 셀룰러 기종으로 가지고 있기도 하다. 그걸 놀리기 보다는 본인 휴대폰 요금제에 데이터쉐어링이란 부가서비스를 추가로 신청하면 와이파이에 연연하지 않는 데이터 이용환경을 누릴 수 있다. 나에게는 현재 휴대폰을 새로 사게 되면서 이전에 있던 아이폰7+ 가 공기계로 집에 굴러다니고 있었다. 우리집 어린이가 야외 혹은 외출시에 넷플릭스나 유튜브를 볼 수 있는 기기로 사용 중이긴 하지만, 와이파이에 의존적이다보니 항상 어딘가 아쉬움이 남았었다. 이럴 때 필요한건 바로 데이터 쉐어링이다. 물론 핫스팟 연결로 되긴하나, 너무 배터리 소모가 심해서 오래 연결해줄 수 없었다. 오늘 포스팅은 KT M모바일에 이미 가입한 "모두다 맘껏 100GB+"..
아이폰을 사용하는 분이라면, 정기구독을 한두개 쯤을 연결해서 결제하고 있을 것이다. 근데 해지를 하려고 했는데, 시간이 지나서 자동결제가 되버린 경우가 더러 있을텐데, 결제가 되었어도 환불이 가능하니 그냥 넘기지 말자. 나 역시 티빙을 정기구독했었는데, 까먹고 있다가 결제가 되버렸었다. 그냥 다음달에 해지할까 했는데, 환불절차가 있는걸 알게되서 신청해서 환불받았다. 환불받기위해서는 아이폰 설정이나 앱으로 할수는 없고, 아래 웹사이트로 간다. Apple에서 구입한 앱 또는 콘텐츠의 환불 요청하기 App Store, iTunes Store, Apple Books 또는 기타 Apple 서비스에서 구입한 일부 항목은 환불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환불은 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모든 기기에서 요청이 가능합니다. s..
어느덧 m1맥북에어를 산지 6개월이 지났다. 나에게는 오래된 인텔cpu 기반 아이맥(iMac 2013 late, 27인치)이 있고, 아직도 쓰고 있다. 해당 아이맥으로 IT개발(R, python, spring-boot), 사진편집(affinity photo), 음악작곡(cubase) 등 용도로 사용했고, 웹서핑 및 IT개발하는 데는 7년이 지난 지금도 안정적이고 문제가 없다. 아래 대부분의 설명은 M1 맥북으로 후기를 작성 했지만, M2 맥북 역시 M1과 동일한 ARM 기반의 아키텍쳐이고 후속 칩이기 때문에 거의 동일한 후기 내용이라 보시면 된다. 아이맥 27인치 고급형. 음악작업 및 사진작업용으로 구입. 아이맥을 산지 어언 2주가 되가나보다. 예전 아이폰3GS 를 처음사고나서 그 충격에 밤새도록 만지작..
마인크래프트를 집에서 아이들이 게임을 할때, 집에있는 컴퓨터 2대로 동일한 와이파이에 접속해서 간단하게 멀티플레이를 하는 방법을 정리해본다. 우선 준비물은 컴퓨터 2대, 와이파이, 그리고.. 마인크래프트 계정2개이다. 계정1개로 로컬로 멀티를 원했던 분들은 다른 포스팅을 찾아보시는게 좋을 듯 하다.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pc 는 M1 맥북 1대와 아이맥 1대(인텔)가 있다. 다 맥OS 환경이며 m1 맥북도 마인크래프트 실행과 멀티연결에 이상없이 잘 된다. 두컴퓨터 모두 와이파이가 같은 망에 접속되었는지 꼭 확인한다. 첫번째 PC 셋팅 집에 있는 와이파이를 이용해서 멀티플레이를 할 때, 2개의 PC 가 필요하다. 조금 더 사양이 좋은 pc 를 첫번째 pc로 선택해서 하는게 좋다. 결국 멀티플레이를 하는 ..
마인크래프트 싱글플레이 했을때, 맥 환경에서 저장된 맵은 어느 폴더에 위치해 있을까? 윈도우 환경관련 해서는 포스팅이 많은 반면에, 맥북이나 아이맥같은 맥 환경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아래와 같이 월드맵을 하나 저장해놓고 찾아보자. 윈도우는 탐색기를 이용하면 되겠지만, 맥os 에서는 파인더(Finder)를 열어서, Command+Shift+G 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폴더로 이동:] 창이 뜨고, 거기에 위의 경로를 입력 후에 이동 버튼을 클릭한다. ~/Library/Application Support/minecraft 바로, 아래와 같이 저장한 폴더를 볼 수 있다. 아마도 나중에 별도로 다운로드한 맵들을 아래 폴더에 넣으면 외부에서 받은 맵들도 쉽게 실행할 수 있을 듯 하다.
도넛차트를 그리기는 여럿 그려보긴했는데, 아래 처럼 일부 조각을 띄우는 방식은 만들고 싶었다. 이게 ggplot2 라이브러리의 옵션으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강구해야만 했다. 알아낸 방법은 geom_tile 함수를 이용해서 살짝 위치이동을 하면, 조각 하나가 별도로 떨어져나와서 강조가 되는 그런 도넛차트를 만들 수 있다. 기본 도넛차트를 그리는 법은 아래 링크들을 참고한다. (ggplot2) R 프로그래밍 파이차트/도넛차트 예제 오늘은 파이차트(원모양의 그래프, 원그래프) 혹은 가운데가 비어있는 도넛차트를 만들어보려 한다. 기본 데이터셋인 mtcars 를 활용해서 우선 bar 차트를 만들어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건, factor emflant.tistory.com 원형차트, 도넛차트 시작 ..
아래 그래프같이 R 프로그래밍으로도 트리맵을 그릴 수 있다. ggplot2 라이브러리만으로는 안되고 treemapify 라는 라이브러리를 설치를 해야 한다. http://wilkox.org/treemapify/ 에서 설치방법은 참고하시기 바란다. 트리맵 그래프에 쓰일 데이터를 한번 만들어본다. 트리맵 구조상 값이 비슷비슷하면 모양이 이쁘지 않고 비교가 쉽지 않기 때문에, 네제곱해서 값간의 간극을 다이나믹하게 만들어본다. set.seed(392890) tb1 = tibble(x = LETTERS[1:9], y = sort(cumsum(sample(50:300, 9)), decreasing = T)^4/1000000) tb1 # A tibble: 9 × 2 x y 1 A 9770776. 2 B 5116716..
ggplot2 로 아래와 같이 막대그래프를 그려본다. 막대그래프를 하나만 그리는게 아니라 막대뒤에 어두운 색으로 하나 더 그려줬다. y축을 표시하지 않는 대신, 어느정도 최대치 높이까지 채워졌는지 느낌을 준 정도이다. 데이터를 먼저 만들어놓는다. x축 10개의 값을 만들고, 높이y를 랜덤하게 sample 함수를 이용해서 10~60사이로 정한다. 마지막으로 막대그래프가 다 같은 색이면 단조로울거 같아서 z필드에 a, b 2개의 유형을 정의했다. tb1 = tibble(x = 1:10, y = sample(10:60, 10), z = rep(letters[1:2], 5)) tb1 # A tibble: 10 × 3 x y z 1 1 32 a 2 2 44 b 3 3 24 a 4 4 57 b 5 5 16 a 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급제폰
- ggplot
- python
- Spring
- eclipse
- docker
- 아이맥
- MongoDB
- ipTIME
- java
- github
- vagrant
- 셀프개통
- Google Chart Tools
- Oracle
- 맥북
- MySQL
- ktm모바일
- 도넛차트
- MyBatis
- 마인크래프트
- ggplot2
- javascript
- R
- heroku
- 이클립스
- 알뜰요금제
- ubuntu
- SVN
- 막대그래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